본문 바로가기
기초 주식 공부/주식 종목분석

곰곰 노브랜드 커클랜드 대형마트의 PB상품 비교 전쟁

by ♾⚕⨊⪒૱ 2025. 4. 27.
반응형

코스트코의 프라이빗 브랜드 '커클랜드 시그니처(Kirkland Signature)'는 2023년 기준 약 56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 세계 유통업계에서 주목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커클랜드 시그니처의 성공 배경과 국내 유통업체들의 PB 상품 전략을 비교 해보려 합니다.

 

  1. 커클랜드 시그니처의 탄생과 성장
  2. PB 상품의 구조와 유통업체의 전략
  3. 국내 유통업체의 PB 상품 사례
  4. PB 상품의 미래 전망

 

커클랜드 시그니처의 탄생과 성장

코스트코는 1995년 자체 브랜드인 '커클랜드 시그니처'를 출시했습니다. 이 브랜드는 고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재 약 550개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커클랜드 시그니처의 매출은 약 560억 달러로, 코스트코 전체 매출의 약 23%를 차지합니다. 이는 나이키, 코카콜라 등 유명 브랜드의 매출을 능가하는 수준입니다.

 

커클랜드-매장-진열대-사람들-일러스트
커클랜드 매장

 

대형마트인데 개인 브랜드 상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PB전략의 성공은 물류업에 있어서 정말 큰 힘이 됩니다. 그러한 점에서 이런 코스트코의 성공은 앞으로 초격차를 만들어낼 핵심이기도 합니다. 이로인해 발생하는 타 기업과의 경쟁은 소비자의 이익으로 다시 돌아올 것이기에 언제나 환영하는 일입니다.

 

PB 상품의 구조와 유통업체의 전략

PB(Private Brand) 상품은 유통업체가 자체적으로 기획하고 제조업체에 생산을 의뢰하여 판매하는 제품을 말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유통업체가 제조업체로부터 제품을 구매하여 판매하지만, PB 상품은 유통업체가 제품의 기획부터 참여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마진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광고비를 절감하고 매장 내 진열을 통해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업체의 PB 상품 사례

국내에서도 다양한 유통업체들이 PB 상품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이마트: 1997년 '이플러스' 브랜드를 시작으로, 현재는 '피코크'와 '노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PB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코크'는 프리미엄 간편식을 중심으로, '노브랜드'는 가성비를 강조한 제품군으로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쿠팡: 자체 브랜드 '곰곰'을 통해 식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빠른 배송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편의점: GS25의 '오모리 김치찌개 라면', CU의 '연세우유 크림빵' 등은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으며, PB 상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딱 보면 해당 기업의 PB상품이구나 하는 생각을 못하게 하면 성공입니다. 피코크, 노브랜드 등등 결국 본인들의 라인을 늘리면서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본인들의 대형마트에서 선택 받을 수 있어야 좋기 때문입니다.

 

PB 상품의 미래 전망

PB 상품은 단순히 저렴한 가격을 넘어, 품질과 브랜드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유통업체들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개발과 지속적인 품질 관리를 통해 PB 상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PB 상품은 유통업체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을건데 저렴하고 질 좋은 유통 혁신은 계속해서 일어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