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보험사에 취업 생각이 있다면 꼭 읽어봐야 할 현재 시황입니다. 어려운 보험 용어도 계속 보다보면 이해가 되기 때문에 읽으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Ⅰ. 경제·금융 환경
2025년 경제 및 금융 환경은 물가 안정과 통화정책 전환의 영향으로 변화가 예상됩니다. 최근 몇 년간, 보험산업에서 주목받던 장기금리의 변화는 경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완화적 통화정책이 물가 상승을 초래하며, 이에 따른 강력한 긴축정책이 진행되었습니다. 2024년 주요국들의 금리 인하 정책과 함께 2025년에도 통화정책 전환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고금리 기조 완화와 더불어 설비투자 및 민간소비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상품수출 및 건설투자는 성장세 둔화가 우려됩니다.
Ⅱ. 주요 동향
1. 성장성
2024년 상반기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전년 대비 3.5% 증가한 54.5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보장성 보험의 수입보험료는 보험계약마진(CSM) 확보 전략에 따라 13.4% 증가했습니다.
무·저해지환급형 건강보험의 판매 확대와 세제비적격 연금보험의 일시납 신규 판매가 증가했습니다. 변액보험은 주식시장 회복으로 신규 판매가 증가했지만 해지가 늘어나며 수입보험료가 감소했습니다.
2. 수익성
2024년 상반기 생명보험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9% 감소한 3.6조 원이었습니다. 이는 투자손익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보험손익은 증가했지만 FVPL 금융상품 평가손익 변동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CSM 상각액과 예실차 관리를 통해 보험손익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투자손익에서는 고이원 자산 비중 확대 및 FVPL 금융상품 관리가 필요합니다.
3. 건전성
2024년 6월 말 생명보험사의 가용자본 중 외부 경영환경 변화에 강건한 자본 비중은 52%에 불과하며,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및 조정준비금이 주요 변동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K-ICS 도입 이후 일부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건전성 우려가 지속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독당국은 지속적인 제도 보완을 추진 중입니다.
4. 감독 및 규제
2025년 시장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감독당국은 할인율 현실화 방안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계획입니다. 이는 보험부채 할인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보험개혁회의를 통해 IFRS17 안정적 정착,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 논의 중이며, 이는 보험회사의 성장성과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주식과 코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한국 게임 산업은 콘솔 시장에서 실패했을까? (0) | 2025.01.26 |
---|---|
각종 국가 정책 지원금 한방에 정리 해 주는 방법 추천 (wello) (0) | 2025.01.23 |
닌텐도 스위치의 성공 요인과 미래 도전 과제 (0) | 2025.01.19 |
3월 11일 미국증시 및 셀트리온제약 팬오션 주가 차트 전망 (0) | 2022.03.12 |
3월 6일 미국증시 및 박셀바이오 스톤브릿지벤처스 주가 차트 전망 (0) | 2022.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