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이슈

인공지능 논술 주제 인간 뇌 발전과 AI 유사성

by ♾⚕⨊⪒૱ 2025. 5. 3.
반응형

AI 시대에서 인공지능이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 예측해야 대비할 수 있습니다. AI의 발전이 인간 뇌 발전과 비슷하다면 예측할 수 있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글을통해 논술 주제 대비, 에이전트 조합, 일자리 변화 등 고민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에이전트 조합과 AI 진화

앤드류 교수의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실험으로 GPT-4와 비교해 매개변수가 10배 이상 작은 ChatGPT도, 여러 개의 에이전트로 분할하여 작업시키면 GPT-4를 뛰어넘는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연구 발표가 있었습니다. 거기다가 최근 딥시크 충격처럼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좋은 성능을 가진 AI 모델이 제작 가능하다는 거거든요.

 

 

 

 

AI가 단일 시스템이 아니라 다수의 에이전트 협업 체계를 갖춘다면 그 성장력은 정말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일테고, 인간 지능을 넘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 지능의 발전과 집단 지성

3,000년 전부터 인간의 뇌는 오히려 작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개인이 모든 것을 기억할 필요가 없어졌고, 역할 분담을 통한 집단 지성이 뇌의 부담을 덜어줬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각 해보면 기술 발전이 될수록 분담이 되었고, 이는 요즘도 그러지 않나요? 뭔가 당장 기억 못해도 검색하면 나온다는 믿음이 있기에 컴퓨터 메모리를 믿고 뇌를 덜 사용하니까요.

 

이런 상황을 AI로 빗대어 보면 현재 AI 모델 역시 분담을 시작했습니다. 어디는 추론 영역, 어디는 그림처럼 말입니다. 이처럼 미래의 AI는 거대한 하나의 지능이 아닌 수많은 에이전트들의 협업 형태로 더욱 발전하는 흐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패턴 인식과 AI의 역할

인간의 뇌가 가진 지능의 본질은 패턴을 찾는 능력이라고 합니다. 시각 인식도 점 두 개와 반원만으로 얼굴을 인식할 정도로 뇌는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패턴을 단순화하려는 특성을 가진다고 해요.

 

AI도 생각 해보시면 본질적으로는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그 결과 프로그래밍, 법률, 주식 트레이딩, 광고 마케팅, 신문 기사 작성 등 명확한 패턴이 존재하는 분야에서 AI가 집중하면 인간을 능가하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는건 이제 당연시 여길 정도죠?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AlphaFold는 단백질 접힘 패턴을 분석해 수천 개의 신물질 후보를 만들어냈고, 이 성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까지 했습니다. 패턴이 존재하는 모든 영역에서 AI는 적용이 가능해 졌는데 더 대단한건 그러한 패턴을 인간이 몰라도 AI가 찾아서 적용을 할 수도 있으니 무섭다는겁니다.

 

 

 

 

AI와 일자리 변화 현실

AI는 생산성을 극대화시키지만, 일자리를 대체할 위험도 큽니다. 과거 산업혁명 때도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긴 했지만, 기존 일자리가 사라지고 회복까지 90년이 걸렸습니다. 게다가 새로운 일자리는 대부분 기존 노동자가 아닌 새로운 세대가 차지했습니다. 지금도 그 때처럼 일자리가 대폭 사라져 버리면.... 중간층이 한번 붕괴 될수도 있다는거거든요...

 

다행인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걱정을 좀 덜해도 될듯 합니다. 왜냐면 우리는 출산률 0.8 나라잖아요? 그래서 일자리가 많이 사라졌을 때 실업자 수가 다른 나라처럼 막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거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자연스렙게 정착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초고속 생산성

앞으로도 AI 생산성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AI 시대는 막을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변화를 어떻게 사회 전체가 공평하게 받아들일 것인가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