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주식 공부/증권사 정보

메리츠 365 환율 수수료 마저도 키움증권 압살 이유

by ♾⚕⨊⪒૱ 2025. 1. 25.
반응형
 최근 메리츠증권 ‘슈퍼365 계좌’가 큰 관심을 받고 있는대요. 거래수수료와 환전수수료 까지 진짜 완전하게 면제해버리면서 거의 기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파격적인 혜택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키움증권보다 환전 방식도 더 나으면서 확실히 옮겨야 하는 이유가 생겼습니다.

 

 
  1. 메리츠 슈퍼365 계좌란?
  2. 키움증권의 환전 방식
  3. 메리츠증권의 환전 방식
  4. 3줄 요약
 

메리츠 슈퍼365 계좌란?

 메리츠증권의 슈퍼365 계좌는 2026년까지 국내·미국 주식 거래와 USD 환전 수수료를 완전히 면제해주는 계좌입니다. 특히, 미국 주식 거래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예수금에도 일 복리 이자를 지급합니다.

  • 거래 및 환전 수수료 면제: 국내 및 미국 주식 거래 시 수수료는 0원이며, 환전 수수료까지 면제
  • 예수금 복리 이자: 원화 예수금은 연 2.65%, 달러 예수금은 연 3.50%의 수익률 적용

 이게 어느정도 미친 혜택이냐면요. 작정하고 이번 이벤트로는 고객만 모은다는 의미입니다. 절대 절대 전혀 수익이 날 수 없는 정도의 혜택입니다. 보통 최소 거래 수수료가 무료라고 하더라도 유관 기관 수수료까지 합치면 0.004% 정도는 나오거든요?

 

메리츠증권 바로가기

 

 

 그냥 그 푼돈 받을바에는 깨끗하고 화끈하게 0원으로 제대로 자리 잡겠다는 의도입니다. 사람들도 아무리 봐도 이해는 안되지만 메리츠 증권이 어디 작은 회사도 아니고 업계 내에서는 탑 5안에 들 정도로 엄청 큰 기관이니 망할 곳이 아니라는 확신을 갖게 됐습니다.

 

앱 ui는 당연히 불편하지만 지금과 같은 사업 확장으로 인원 늘리고 하면 분명 앞으로 엄청 개선될 예정입니다. 거기다가 2년간 무료이기 때문에 2년간은 저~~~언혀 고객들이 이탈할 일이 없고, 그 말은 앞으로 개선만 남은거죠.

 

키움증권의 환전 방식

 키움증권에서 환전을 진행할 때랑 차이가 좀 느껴지신다는 말이 많은대요. 하나하나 이유를 말씀 드릴게요.

  • 가환율: 환전 신청 시 임시로 표시되는 환율
  • 적용환율: 환전 실행 시 고시되는 환율
  • 정산환율: 실제 환전 완료 후 적용되는 최종 환율

 키움증권에서는 달러 → 원화 환전 시, 가환율과 정산환율 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전 요청을 증권사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하는게 아니라 일정 기간동안 요청 분을 모은 후 일괄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시간 환율 변동에 따른 유리한 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메리츠증권의 환전 방식

메리츠증권의 슈퍼365 계좌에서도 환전 요청은 누적 처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것은 똑같습니다.

  • 100% 수수료 면제: 환율 우대가 아닌 완전한 수수료 면제로 인해 환전 비용 부담이 없습니다.

 그러나 100% 수수료 면제냐 5% 수수료 면제냐가 이럴 때 확실히 체감되는거죠. 환전의 경우 1원만 움직여도 변동성이 크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1,000원의 1원은 0.1%나 변동 하는거잖아요? 환전하는 주기나 시점은 증권사 별로 다릅니다. 그러다 보니 어떨때는 키움이, 어떨 때는 메리츠가 유리하게 느껴질거에요.

 

22222222222222222222 광고 삽입 자리

 

 그런데 그 와중에 고정적으로 5%라도 수수료가 더 적은게 기본으로 깔리다보니 전체적으로 메리츠 증권의 계좌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더 좋았다! 라는 경험을 많이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죠!

 

3줄 요약

키움증권(95% 환율 우대)과 메리츠증권(100% 수수료 면제)의 차이가 기본적으로 고정입니다.

증권사들은 요청 즉시 시장에서 환전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로 모여진 주문들을 토대로 환전을 진행한다.

메리츠 증권은 이 때 5%의 차이가 항상 기본적으로 깔리다보니 더 좋았다는 후기가 더 많이 들리게 된다.

 

33333333333333333333333333광고 삽입 자리

 

큰 금액 차이는 아니거든요? 그런데 이게 누적이라고 생각하면 알짜배기 증권사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