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달러가 142엔을 돌파하면서 글로벌 리스크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우리나라만 무시하는 위치에 있는국가이기 때문에 엔화 절상은 생각보다 시장에 충격을 많이 주거든요. 엔화를 중심으로 시장에 영향은 어떤지 한번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1. 엔화 140원 돌파의 충격파
엔/달러 환율이 140엔을 기록하며 최저치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이는 1990년 일본 버블 경제 붕괴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의 평가절하입니다. 특히 한국 원/달러 환율이 동시에 1,484원까지 치솟으며 '더블 위기'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트럼프가 금융 자산에 대해서도 세금을 매긴다고 발표 하면서 그동안 파나마 같은 국가에서도 세금을 매긴다고 했습니다. 이는 파나마 처럼 원래는 세금을 안내던 국가에도 찾아가서 국채 이자를 주면서 세금을 떼고 주겠다는 거거든요?
그러면 전세계 자본주의의 가장 주춧돌인 미국채 수요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국채 금리도 오르고 있는 상태이기도 하고요. 게다가 국내 엔 환율도 1,000원을 오르면서 우리나라는 고달러 엔고 현상을 겪고있는 상황이고요.
역사적 사례 비교
2013년 아베노믹스 당시 엔화 20% 평가절하 발생 시 한국 수출업체 평균 매출이 15% 감소했으며, 특히 자동차 부품업계는 32%의 수출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현재 반도체 장비업체 중 하나의 경우 엔화 10% 추가 약세 발생 시 분기별 예상 손실액이 287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일본 엔화의 의미
일본의 엔화는 전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국제 통화입니다. 그러므로 엔화를 빌려서 자산에 투자하는 물량이 정말 많습니다.
2. 엔캐리 트레이드 메커니즘
엔화를 빌려서 투자하는 앤케리 트레이드가 강해질수록 엔화는 강해지게 됩니다. 엔을 사려는 수요가 많으니 화폐가치가 그만큼 상승하는 구조거든요. 앤케리 트레이드가 변동성이 커질 때의 위험성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개월 만에 23조 원 규모 청산 사태에서 확인됐습니다.
구분 | 엔캐리 트레이드 | 위험 요인 |
---|---|---|
차익 구조 | 0.1% 일본 금리 vs 5.5% 미국 금리 | 환율 변동 3% 초과 시 손실 |
청산 트리거 | 엔화 140원 돌파 | 마진콜 발생 시 48시간 내 청산 |
앞으로도 주목 하셔야할 부분이 증권사 청산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니 계속 주목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실제 청산 시나리오
레버리지 5배 엔캐리 상품의 경우 엔화 1% 상승 시 15% 손실 발생. 3.2% 엔화 급등 했을 때는 해당 상품 보유자가 무려 82%가 강제 청산되기도 했었거든요.
3. 실제 시장 반응 사례
현재 달러는 우리나라에서 강달러 움직임으로 1,500원이 이제 새로운 뉴노말이 될 것인지에 사람들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트럼프 덕분에 달러는 약달러 중이거든요? 단지 원화가 약해졌을뿐이고, 이게 지금 엔/원 환율로 표현되고 있는 것입니다.
엔화도 그리 강한 편이 아닌데 달러와 원화가 많이 약해지면서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보이고 있는 측면은 있습니다.
원래 미국 금리가 상승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 수요 때문에 엔화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현재는 다른 방향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관 투자자 움직임
엔화를 팔아서 미국 채권을 사는게 앤 캐리 트레이드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데, 미국채 금리가 급상승 하게(약해지면) 되버리면 가격은 쭉 빠진다는 말이잖아요? 그러면서 강제 청산(마진콜)이 터지고 미국채를 손절하고 엔화를 사야되는 수요로 이어지게 됩니다.
현재 상황에서 위같은 상황이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앤캐리 청산이 많아지면서 미국채 금리가 더오르면 (가격이 더 떨어지면) 이에 따른 충격은 더 큰거거든요. 갑자기 137~140엔까지 엔/달러가 움직여버리면 국내 원달러는 바로 1,500원 돌파이고 시작 지점이 될 수 있습니다.
4. 개인 투자자 대응 매뉴얼
우선 환율에 주목 하셔야 합니다. 네이버에 엔달러 환율 검색 하신후에 140엔 아래로 떨어져 버린다면 숨고르기 차원에서도 정리를 많이 해두시고 관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 달러의 붕괴
갑자기 엔화가 강해지게 되면 엔 캐리 트레이드가 감긴다는 표현을 쓰는데, 위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대표적으로 미 국채의 청산이 시작될 수 있고, 그럴경우 미국채 가격 때문에 시장에는 연쇄 충격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기초 주식 공부 > 주식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대선 테마주 Top7 (0) | 2025.04.30 |
---|---|
노는 돈 기본 관리 방법 CMA MMF 파킹통장 (1) | 2025.04.28 |
급락장 추천 종목인 VIX 오른 다는데 무슨 상품? (0) | 2025.04.25 |
ETF 뭐 살지 전 세계 인기 순위 100 (0) | 2025.04.24 |
어려운 ETF 용어 커버드콜 뜻 (1)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