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매일 시장읽기

[주요증시] 삼성전자 주가, 급등주, 상한가

by ♾⚕⨊⪒૱ 2021. 3. 6.
반응형

밤 사이 증시동향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뉴욕증시의 경우 파월 Fed 의장의 금리 발언 실망감으로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미국 국채금리 상승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하락 마감 했었습니다.

파월 의장 발언 "최근 국채수익률 급등은 주목할 만하고,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라는 발언이었는대요. 시장은 이 발언에 대해 경고 발언이 없음에 집중하며 하락 마감한 것으로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도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며 물가 상승에 인내하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원/달러 환율 : 1.0원 상승한 1,126.1원을 기록

코스피 지수 : 외인/기관 각각 3,703억/8,050억 순매도

코스닥 지수 : 외인/기관 각각 1,117억/244억 순매도

개인의 일방적인 저점 매수심리로 시장을 지지하며 낙폭을 회복하며 마감

 

 

삼성전자 주가의 일봉과 삼분봉입니다. 말씀드렸다 시피 60일선언저리에서 횡보 흐름과 함께 코스피와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는 모습니다. 

 

개인의 매수세가 강하면 강할수록 삼성전자 주주 비중에서 개인의 비중은 더욱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장초 갭락의 흐름일때마다 흔히 말하는 '물타기'전략을 사용중으로 보여집니다. 

 

슬슬 시장의 광기를 이용해 돈을 벌었던 주주들의 경우 심적으로 지쳐가면서 10년 들고가기 운동으로 삼성전자에 들어오고 싶어하는 심리가 생기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 급등주 상한가 정리

현대퓨처넷 : 전기차 충전소 관련 사업목적 추가 기대감 재부각

NE능률 : 윤석열 테마주

포스코엠텍 : 3년전 인수한 리튬 염호의 가치가 35조원 증가 

 

사조산업 : 소액주주연대 경영 참여 선언 소식에 급등

엔비티 : 이르면 11일 미 상장 예정 모멘텀 속 쿠팡을 주요 광고주로 두고 있어 급등

삼성출판사 : 스마트스터디 나스닥 상장 추진 기대감 재부각

하나기술 : 주당 1주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케이피엠테크 : 투자자 휴머니젠, 코로나 19 치료제 렌질루맙 입상 3상 결과 및 FDA 비상사용허가 제출관련 사항 발표

팬엔터테인먼트 : 드라마 5편 이상 제작 예정

구영테크 : 애플카 이슈와 섞인 종목. 현대차에 부품 납품 중.

해성옵틱스 : 지분 변동 이슈로 추정

흥국 : 실적 호조

플리토 : 네이버 AI번역 서비스 파파고와 언어 인공지능 분야 관련

남성 : 자율주행, AI 관련주

크루셜텍 : 지난해 재무건전성 향상 및 올해 턴어라운드 목표제시 모멘텀 지속

 

[인사이트]

항상 새로운 세상으로의 변화는 빠르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신석기 혁명에서 산업혁명까지 걸린 시간은 매우 긴데, 산업혁명 이후의 그 속도는 차원이 다른 속도라는 것은 모두 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의 주도주는 반도체를 기반으로 해서 2차전지, 전기차까지 시장을 충분히 달궈둔 상태 입니다. 4차 산업혁명의 테마 안에서 로봇까지도 세간의 주목을 슬슬 받고 있는 상황으로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AI를 조금 더 깊게 지켜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AI라는 분야가 워낙 폭넓게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 중 제가 가장 최근에 놀랐던 분야는 바로 "게임회사"입니다.

우리나라 대표 게임기업 3사의 경우 작년 비전으로 AI분야를 손꼽는 발표를 하였습니다.

기술기반 기업인 만큼 당연하게 여기신 분들도 많았을지 모르지만, 제가 느끼기에 해당 기사는 커다란 충격을 가져왔었습니다.

RPG게임은 제 2의 자아인 자신을 키우는 즐거운 취미 생활이기도 합니다. 그런 새로운 자아가 활동을 하며 대회를 나누고 모든 심리적인 요소까지 "인격체의 데이터"라는 관점으로 지켜본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저로서는 정말 괜찮은 사업 진출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거기다가 테스트 모델도 아주 간단합니다. 

 

게임 내 NPC라는 요소를 활용한다면 자신들의 로직대로 움직일지, 대화가 될 지등 게임내 캐릭터 대상으로 테스트 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리스크적인 요소가 다른 AI기업에 비해 적은 상황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AI라는 관점에서 지켜보았을 때 게임 기업이 먼저 떠올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이 될지, 구글이나 아마존 등 기존 IT 공룡이 대장이 될지 공부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겠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