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PFE)는 최근까지 비만 치료제에도 관심을 보이기도 하면서 괜찮은 흐름이었습니다. 최근 여러 이슈 때문에 주가가 눌리고 있어서 관련해서 정리 해두려고 합니다. 미주의 특징인데 이런 상황이면 주가 방어를 위해 배당을 계속 하니까 큰 걱정은 없어요.
1. 주당 $0.43 배당금 346회 연속 지급
2025년 2분기 배당금을 주당 0.43달러로 확정하며 55년 연속 배당 기록을 갱신 중인 곳으로 배당은 무조건 더 나올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현재 배당수익률 7.63%로 S&P 500 평균(1.35%)을 크게 상회하고 있고, 6월 13일 지급 예정입니다. 2025년 예상 배당총액은 29억 달러 규모입니다.
"주주 가치 창출은 화이자 DNA의 일부" - 앨버트 부를라 CEO, 2025년 배당 발표 시[10]
2. 비만약 PF-06882961 개발 중단 쇼크
1일 1회 투여형 다누글리프론(PF-06882961)의 2상 임상에서 참가자 1명의 무증상 간 손상이 발생하면서 쇼크가 터진건대요. 이번 하락은 이번 이슈 영향이 큰 상황입니다. 1,400명 임상 데이터 분석 결과, 기존 GLP-1 약물 대비 3배 높은 중단률(28%) 확인되면서 이로 인해 2026년 1월 완료 예정이던 3상 임상 전면 취소되어 버렸거든요.
대체 전략: 바이오텍 인수 가속화
화이자는 2025년 4월 현재 바이킹 테라퓨틱스 등 3개 비만 치료제 개발사를 상대로 인수 협상 진행 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4년 40억 달러 규모 비용 절감 성과를 인수 자금으로 전용할 계획으로 꽤나 구체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어서 현실성도 어느정도 있다고 판단됩니다.
3. RSV 백신 시장 판도 변화
GSK와의 특허 분쟁 종결로 아렉스비(Arexvy)와 아브리스보(Abrysvo)의 시장 점유율 경쟁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CDC 권고 변경으로 60세 이상 접종률이 32%→25% 하락했고, 2028년까지 미국 RSV 백신 시장 3억 1,620만 달러 성장이 전망됩니다.
구분 | 아렉스비(GSK) | 아브리스보(화이자) |
---|---|---|
2025년 예상 매출 | 18억 달러 | 14억 달러 |
효능 지표 | 82.6% (하기도감염 예방) | 78.9% |
4. 코로나19 백신 발표 시기 논란
트럼프가 이제 보복 정치를 하는 부분으로 보이는 건대요. 2020년 11월 3일 대선일 이후 6일 만에 백신 개발 성과 발표했었거든요? GSK에서 제보한 내용으로 연방검찰, 정치적 개입 여부 수사 개시했다는 말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당시 트럼프 캠프 관계자 증언에 따르면, 화이자 연구팀은 10월 30일 완제품 확보했다고 하면서 관련해서 꼬리를 물고 들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법적 리스크 전망
증거 불충분으로 형사소송 가능성 23% 정도로 아주 낮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민사소송 58건 진행 중이며, 최대 47억 달러 배상액이 측정되면서 무시한 수치는 절대 아닙니다.
5. 2025년 주가 전망 시나리오
코인프라이스포캐스트에서는 2025년 말 목표가 $38.18(28% 상승)으로 보고 있고, 월렛인베스터에서는 $24.89~$28.10 박스권 전망했습니다. 모닝스타 쪽에서는 공정가치 $42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현재 주가가 썩 나빠 보이지는 않습니다.
주요 변동 요인
-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확보 여부
- 코로나19 소송 판결 결과
- RSV 백신 시장 점유율 경쟁
주로 이 세 가지 부분에서 주가 흐름을 관망 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기초 주식 공부 > 주식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자 미국주식 주가 하락 핵심 정리 (0) | 2025.04.26 |
---|---|
M7의 추락 테슬라 주가 미래 전망 포인트 (4) | 2025.04.25 |
월배당 금리형이 합쳐진 ETF 타이거 CD 금리 플러스 추천 (0) | 2025.04.21 |
연금 IRP와 DC 계좌, 장기 투자를 위한 ETF 종목 추천 (0) | 2025.01.21 |
[정치 테마주] ~ 6월 4일 윤석열 테마주 부인 관련주 대장 총 정리 (1) | 2021.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