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년 연장에 대해 계속 논의되면서 정년 연장 시대를 대비해서 관련 종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순간이 왔습니다. 기본적으로 고령화 관련해서 올랐었던 종목을 기반으로 관련주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기업이 이제 노인에 대한 비용을 감당 하는거잖아요?
1. 고령화 사회의 현황과 전망
대한민국은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으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상황입니다. 이는 UN이 정의한 초고령 사회 기준에 부합하는 거거든요. 통계청에 따르면 2050년에는 인구의 40%가 65세 이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니까 진짜 노인 사회는 확정이고, 최근 저출산으로 더욱더 확정입니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서 정부는 일단 정년 연장을 논의 중이거든요? 노령화 사회가 되니 회사도 노령층으로 구성하자는 아이디어 입니다. 여기서 생각 해볼 것은 이제 진짜 노령층이 회사의 일원이 되는게 당연시 되면서 관련하여 '회사 복지'에 노인 관련 상품이 들어갈 수밖에 없을거라는 거죠.
2. 고령화로 인한 산업 변화
- 의료 및 헬스케어 산업 : 만성질환 관리, 재활치료, 치매 예방 수요 증가
- 실버 산업 : 노인 주거시설, 여가활동, 실버금융 수요 확대
- 의료기기 및 보조기기 : 보청기, 휠체어, 보행보조기 등 수요 증가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인 상품이라고 하면 위 세 가지 정도를 정리 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이제 회사 내에 구비되어야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고령화 관련 유망 기업
- 오텍 : 앰뷸런스, 진료 차량 제작
- 셀루메드 : 인공 관절, 연골 이식재 개발
- 레이 : 치과용 디지털 엑스레이 및 치료 솔루션
- 덴티움, 덴티스 : 치과 의료기기 및 임플란트 제조
- 피플바이오 : 치매 조기 진단 키트 개발
- 휴비츠 : 안과용 검사 장비 제조
- 인바디 : 체성분 분석기 제조
이미 과거에 노령화 관련주로 엮이면서 상승한 이력도 있는 종목들입니다. 개인이 나이를 먹었을 때 자식이 선물하거나 직접 사야했던 물품에 대한 수요가 이제 회사로 넓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내 인구(소비자)가 줄었는데 법인이 그 역할을 대체하여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괜찮은 투자 아이디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4. 투자 시 고려사항
- 시장 성장성 :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 수요 예측
- 기업의 경쟁력 : 기술력, 점유율, 브랜드 가치 분석
- 재무 건전성 : 수익성, 부채비율 등 재무지표 확인
- 정부 정책 : 고령화 대응 관련 지원 여부 파악
4가지 측면에서 봐도 괜찮은 예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 주식 공부 > 주식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 ETF 장기투자 일찍 시작 해야되는 이유 (2) | 2025.05.09 |
---|---|
토스 당근 비상장 주식 흑자 전환, 앞으로의 전망 분석 (1) | 2025.05.03 |
미국 대선 테마주 Top7 (0) | 2025.04.30 |
노는 돈 기본 관리 방법 CMA MMF 파킹통장 (1) | 2025.04.28 |
엔화 폭락이 만드는 위험한 글로벌 증시 전망 (0) | 2025.04.25 |
댓글